아주 오랜만에 치과검진을 오셨던 환자분이 스케일링을 받고나면 치아가 시리고 치아 사이가 더 벌어지는것 같아서 정기검진을 받으러 오지않으신다고 하셨습니다. 본인 뿐만 아니라 주위에서도 그런 얘기를 많이 들었다고 하시는데 왜 그런걸까요?
치태(Plaque)는 치아표면에 생기는 크림색의 끈적한 세균막인데, 깨끗이 제거하지 않으면 치아속의 미네랄이 빠지면서 충치가 생기거나 잇몸이 붓고, 잇몸병이 생기기 시작합니다.
치석(Calculus)은 침속에 있던 미네랄 성분이 치아에 붙어있는 세균막에 침착되어 단단하게 돌처럼 굳어진것인데, 칫솔질이나 치실로는 제거하기가 어렵습니다.
치석은 치간에 벌어진 사이를 채우기도 하고, 치아와 잇몸사이에 생기기도 합니다. 치석은 자체가 병균이 아니지만 치석의 표면이 거칠기 때문에 치석에는 치태가 달라붙기가 더 쉽고 치태를 제거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치석 주위의 잇몸은 박테리아에 의한 만성염증으로 인해 항상 부어있게됩니다.
잇몸에 만성염증이 생기면 어떤일이 벌어질까요? 치아주변의 치조골이 조금씩 내려앉고 그 주변의 잇몸도 내려앉으면서 치아의 뿌리가 구강으로 드러나게 됩니다. 치아의 뿌리는 치아를 보호해주는 단단한 법랑질(Enamel)이 없어서 온도에 매우 민감하고, 충치에도 취약합니다.
잇몸병 초기에는 별 증상이 없기때문에 이런 과정을 많은 분들이 인지하지 못하고, 이런 상태에서 제대로 된 칫솔질과 치실 사용은 잇몸에서 피가 나게 되므로, 제대로 청결의 유지하지 못하는 악순환이 계속됩니다.
그러면 이 상태에서 스케일링을 하면 어떤일이 벌어질까요? 치아의 뿌리를 덮고있던 치석을 모두 제거하고 나면 치아의 뿌리부분이 노출되어 차거나 뜨거운 음식을 먹으면 당연히 치아가 시리게 됩니다. 또한 치석이 제거되고 나면, 치간을 채우고 있는 치석이 없어지고, 잇몸염증이 회복되면서 부어있던 잇몸이 단단하게 줄어들어, 당연히 간격이 넓어보이겠지요?
아이러니하게도 치석과 염증으로 인해 부은 잇몸이 노출된 치아의 뿌리를 ‘보호’하고 있었던 것인데, 결과적으로 보면 치아가 시리고 간격이 생긴 것이 스케일링의 탓으로 생각되는겁니다.
치료를 받지않고, 계속 놔두면 치조골이 계속 내려앉아 치아가 흔들려서 발치를 하게 될수도 있고, 치조골이 많이 내려 앉은 경우에는 임플란트를 하기 어려운 경우도 있습니다. ‘쓸때까지 쓰다가 빠지면 임플란트 하면 되지’라고 생각하시는 분들이 많은데 나중에 더 아프고 비싼 치료를 하게 되거나 아예 임플란트로 할수 없는 경우도 있습니다.
치과 정기검진에 관해 궁금한 점이나 예약이 필요하시면 818-688-7646 으로 전화주시면 친절하게 안내해 드리겠습니다.
Rosemont Smile Dental, 로즈몬트 치과 (라크라센타)- 2607 Foothill Blvd. La Crescenta, CA 91214 (랄프몰 내), (818) 688-7646. www.rosemontsmile.com